본문 바로가기
허리척추(요추), 골반

하부교차증후군! 골반 교정운동을 위해서 꼭 알아야 합니다!

by 재활양쌤 2022. 11. 1.
반응형

오늘은 골반 교정 운동을 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하부교차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전에 하부교차증후군은 단독적으로 나타나기보다 상부교차증후군과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일자목, 거북목, 버섯목 증후군이 알아야 할 상부교차증후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력중심선의 기준에서 목이 앞으로 빠진 자세인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거북목 증후군"과 이 자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부교차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

sun-healthcare.tistory.com

 

하부교차증후군에 따른 골반 전방 경사 패턴

하부교차증후군
하부교차증후군

<긴장된 근육> - 빨간 선

◎ 등허리 폄근(흉요추 신전근, Thoracolumbar extensors)

◎ 엉덩관절 굽힘근(고관절 굽힘근, Hip flexors) - 엉덩허리근(장요근, Iliopsoas), 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 Rectus femoris)

<약화된 근육> - 파란 선

◎ 심부 배근육(Deep abdominal muscles)

◎ 큰볼기근(대둔근, Gluteus maximus)

◎ 중간볼기근(중둔근, Gluteus medius)

 

앞굽음증 불균형 패턴의 특징

이런 불균형 패턴은 허리척추(요추)4-5번 분절과 엉치엉덩관절(천장관절, Sacroiliac joint)과 엉덩관절에서 부분적으로 관절 기능장애가 발생합니다.

허리에서 앞굽음증이 크게 나타날 경우에는 불균형이 골반 근육들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허리에서 앞굽음증이 가볍게 나타날 경우에는 가슴 쪽 주변까지 영향을 미쳐서 불균형이 몸통 근육들(Trunk muscles)에서 나타납니다.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그림을 보면서 두 가지 유형을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유형

앞굽음증A유형
A 유형

이 유형은 정상보다 엉덩관절의 굽힘과 폄을 더 많이 이용합니다.

자세는 골반의 전방 경사(Pelvic anterior tilt)와 약간의 엉덩관절 굽힘과 무릎관절 굽힘을 보이는 게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상부 허리뼈(상부 요추, Upper lumbar)와 등허리 분절(흉요부 분절, Thoracolumbar segments)의 과도한 척추뒤굽음증(과도 척추후만증, Hyper kyphosis)과 같은 보상작용을 일으킵니다.

 

두 번째 유형

앞굽음증B유형
B 유형

유형인 분들은 허리(Low back)와 배부분(Abdominal area)의 움직임이 정상보다 많습니다.

적은 허리 앞굽음증(요부 전만증, Lumbar lordosis)은 등허리 분절(흉요부 분절, Thoracolumbar segments)로 확대되고, 보상 작용으로 가슴 쪽 주변의 척추뒤굽음증(척추후만증, kyphosis)과 머리 내밈(Head protraction)이 나타납니다.

중력 중심(COG)이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무릎은 전반슬(Recurvatum, =Back knee)이 됩니다.

척추 안정성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심부 안정화 근육들(Deep stabilizing muscles)은 억제되고 얕은 근육들(표재 근육들, Superficial muscles)은 활성화가 증가됩니다. 큰볼기근(대둔근, Gluteus maximus)의 억제 또는 골반 전방 경사의 보상작용으로 뒤넙다리근(슬괵근, Hamstring)이 긴장될 수 있습니다.

이런 하부교차증후군은 움직임 패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가 걷는다고 생각했을 때 지지하고 있는 다리가 뒤로 밀어주면서 반대쪽 다리가 앞으로 나가는데, 이때 지지하고 있는 다리를 뒤로 펴는 엉덩관절 폄 능력이 없으면, 골반의 전방 경사(Pelvic anterior tilt)와 허리를 세우는 보상작용이 나타납니다.

그로 인해 증가된 골반 경사와 허리 앞굽음증은 가슴 쪽 척추뒤굽음증(흉부 척추후만증, Thoracic kyphosis)과 목 척추앞굽음증(경부 척추전만증, Cervical lordosis)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하부교차증후군을 통해 나타나는 골반 전방 경사 타입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골반 전방 경사 타입인 분들은 어떻게 운동을 할까요?

 

적용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하부교차증후군을 참고해서

긴장되어 있는 등허리 폄근(흉요부 신전근, Thoracolumbar extensors)과 엉덩관절 굽힘근인 엉덩허리근(장요근, Iliopsoas), 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 Rectus femoris)이완이 되는 스트레칭

약화되어 있는 심부 배근육(Deep abdominal muscles)큰볼기근(대둔근, Gluteus maximus)과 중간볼기근(중둔근, Gluteus medius)근력 강화 운동

골반의 후방 경사 타입은 이와 반대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하부교차증후군은 골반 경사에 대한 교정 운동의 기본적인 원리가 되는 이론이며,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우리 몸은 사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골반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적인 평가 및 교정 운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